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243

[한줄 메모] h21.hani.co.kr (posted by fermi) http://h21.hani.co.kr/arti/cover/cover_general/25365.html 2009. 7. 17.
눈에서 멀어지면 마음도 멀어진다? 눈에서 멀어지면 마음도 멀어진다? 눈에서 멀어진다고 해서 마음도 멀어지는 것은 참사랑이 아니다. 참사랑이라면 눈에서 멀어질수록 마음은 그만큼 더 가까워져야 할 것이다. 눈에서 멀어졌다고 마음까지 멀어지는 것은 참우정이 아니다. 참우정이라면 눈에서 멀어지면 마음은 그만큼 더 가까워져야 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 최인호의《산중일기》중에서 - * 사랑은 '눈을 뜨는' 훈련입니다. 육체의 눈이 아닌 마음의 눈! 마음의 눈이 밝아야 사랑도, 우정도 깊어집니다. 눈에서 멀어지면 마음도 멀어지는 것이 아니라 도리어 마음의 눈이 더 활짝 떠져서 더 가까이 더 잘 보이는 관계가 진정한 참사랑, 참우정의 모습입니다. 2009. 7. 17 2009. 7. 17.
[한줄 메모] 아... 아무래도 위염... (posted by fermi) 아... 아무래도 위염... 2009. 7. 15.
지적(知的) 여유 지적(知的) 여유 책을 쓰고 강의를 하는 사람들에게 지적 여유는 필수입니다. 내가 품고 있는 지적 풍요로움에서 명강의가 나옵니다. 지도자가 되려면 지적 여유가 많아야 합니다. 창조적인 작업을 하는 사람에게는 아이디어가 많아야 합니다. 끊임없는 탐구정신과 신선한 호기심이 창조성을 유발합니다. - 황성주의《꿈의 씨앗을 심어라》중에서 - * 곳간에 알곡을 많이 쌓아두어야 겨울을 잘 날 수 있는 농부처럼 '사람농사'를 짓는 사람의 머리에도 지식의 알곡이 많이 채워져 있어야 그의 생각과 삶이 넉넉해 질 수 있습니다. 그러려면 좋은 글, 좋은 말을 많이 접해야 합니다. 읽고 또 읽고, 듣고 또 들어서 '자기 것'으로 소화시켜야 비로소 지적 여유가 생기고 창조의 거름으로도 쓸 수 있습니다. 2009. 7. 15 2009. 7.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