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기술/일반

[필독] 내달부터 개인용 공인인증서 유료화 - 유료화 전 인증서 갱신 !!

by fermi 2003. 12. 12.
공인 인증서를 유료화 + 의무화 ??
인증서 없이는 뱅킹도 못하게 되더니 이젠 유료화 되는군요.
내년 부터는 인터넷 쇼핑몰에서 10만원이상 물품을 구매할 때도 공인인증서를 의무적으로 사용해야 한다네요.

인증서 유효기간이 1년 정도 되니, 유료화 하기 전에 갱신해서 유효기간을 최대로 만들어 두어야 겠습니다.

------------------------------------------

내달부터 개인용 공인인증서 유료화 (전자신문)
[IT] 2003년 12월 11일 (목) 08:30

 개인용 공인인증서 발급이 내년 1월부터 유료로 전환된다.
 정보통신부는 10일 공인인증서 이용의 안전성과 편리성의 홍보를 위해 지난 3년간 무료로 발급해온 개인용 공인인증서를 내년부터 유료로 발급키로 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인터넷뱅킹·온라인주식거래·보험업무·전자정부 민원서비스 등에 이용되어 왔던 개인용 공인인증서에 대해 내년 1월 중순부터 신규 및 갱신발급할 경우 요금이 부과된다. 또 유효기간이 남은 이용자에 대해서는 잔여 유효기간이 종결되는 시기부터 이용 요금이 부과될 예정이다. 예컨대 이 달들어 공인인증서를 무료로 발급받은 이용자는 내년 12월 갱신할 때 유료 요금을 지불하면 된다.

 개인용 공인인증서의 유료화는 당초 올 10월에 전면시행될 예정이었으나 6개 공인인증기관간 이견으로 인해 미뤄졌다. 본지 8월 25일자 면 참조

 이에 앞서 정보통신부를 중심으로 지난 6월부터 금융결제원·한국증권전산·한국전자인증·한국정보인증·한국무역정보통신·한국전산원 등 6개 공인인증기관의 실무진이 참여하는 ‘유료화 실무작업반’을 편성해 의견을 조율해 왔다. 당시 유료화 실무작업반 내에서 각 인증기관들이 제시한 인증서 가격은 최대 8000원 이상의 가격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각 기관마다 원가와 마진 산출에 따른 적정가격이라고 주장하고 있어 의견일치가 어려운 상태였다. 이에 따라 공인인증기관별로 인증서 발급 원가분석을 진행했으며 정통부도 회계법인에 의뢰해 적정 유료 기준 금액을 산정해놓고 있다.

 한편 공인인증기관별 유료화는 각 기관별로 산정한 금액이 정통부가 산정한 기준 금액과 큰 차이가 없을 경우 곧바로 시행될 수 있지만 액수의 차이가 클 경우 시정 명령을 받게 된다. 이때 해당기관이 만약 정통부의 시정명령을 어길 경우 공인인증기관 지정 취소도 가능하다. 이달 말과 내년 1월 초에는 인증기관별로 유료금액을 신청할 것으로 예상되며 정통부가 통과시키면 곧바로 유료화될 전망이다.

 개인용 공인인증서 유료화계획을 발표한 한국정보보호진흥원(KISA)의 한 관계자는 “서비스 15일전에 신고해야 하기 때문에 이달 말부터 인증기관별로 유료금액 규모가 접수될 것”이라며 “적어도 내년 1월 말부터 개인공인인증서의 유료화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서동규기자 dkseo@etnews.co.kr>

( http://news.naver.com/news_read.php?oldid=2003121100008607081 )

------------------------------

인터넷뱅킹 공인인증서 유료화 (한국일보)
[속보, 경제] 2003년 12월 10일 (수) 17:42

내년 1월 중순부터 인터넷뱅킹이나 사이버증권거래 등에 필요한 공인인증서 발급 및 갱신이 유료화한다.또 1월1일부터는 인터넷 쇼핑몰에서 10만원이상 물품을 구매할 때도 공인인증서를 의무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금융결제원과 한국증권전산 한국전산원 등 6개 인증기관들은 지난 3년간홍보차원에서 무료 발급해온 개인용 공인인증서를 유료전환키로 하고, 현재 금액산정을 위한 원가분석 작업을 진행중이라고 10일 밝혔다.이르면 1월15일, 늦어도 2월초부터는 시작될 공인인증서 유료화는 모든신규발급에 적용되며, 기존 인증서의 유효기간이 남아있을 경우 새로 갱신할 때 요금을 내야 한다. 인증기관 관계자는 “전산유지비용과 해킹차단시스템개선 등 인증서의 안전성과 질적 개선을 위해선 유료화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공인인증서란 각종 온라인 거래에서 본인임을 확인해주는 ‘디지털 인감’‘사이버 신분증’에 해당하는 것으로 인터넷뱅킹, 온라인주식거래 등 금융분야와 온라인 주민등록등·초본발급과 지방세 납부 같은 전자행정업무에 주로 활용되고 있으며 현재 약 800만명이 이용하고 있다. 또 온라인 대학입시원서접수, 인터넷 주주총회 및 일반 인터넷사이트의 신원확인용으로도 점차 적용분야가 확산될 전망이다.

( http://news.naver.com/news_read.php?oldid=200312100000203637015 )